6. 캐시아이템 기간 연장
br />
생도의 뱃지나 기간제 아이템들의 경우, 기간이 지나면 색이 흐려지면서 사용이 불가하죠. 이 때 '캐시 아이템 연장'을 누르시면 할인된 금액으로 재 구입이 가능합니다. 만료아이템 삭제하지 마시고 약간의 이익을 더 챙겨서 연장하세요/
br />
7. 공유 보관함
br />
공유보관함에 이거 들어가나요? 라는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.
* 들어가지는 물품 ? 아이템을 드래그해서 활성화되지 않은 공유보관함에 넣으려 했을 때 '공유보관함이 활성화 되지 않았다'' 혹은 '몇개를 넣으시겠습니까' 라는 메시지가 뜨면 공유 가능한 물품
* 들어가지 못하는 물품? 안되는 아이템은 드래그해서 올려놓으면 '넣을 수 없는 아이템'이라고 메시지가 뜹니다.
(멘트는 정확하진 않지만 대략적으로 저렇게 나옵니다 ㅋ)
br />
8. 헌신의 인장
br />
뉴비시절 헌신의 인장을 200개씩 꽉 채워놓고 사용하질 않았었습니다. 지금 생각하면 정말 아까워요.
묵혀두지 마시고, 콜헨/로체스트의 견습병사, 모르반의 페카에게 가셔서 [피로도 회복제] 를 하루에 하나씩 꼭 구입해주시고, 그래도 많이 남는다 싶으시면 [마법 가루]를 구매하셔서 엘릭서를 제작하여 파시면 소소한 돈벌이가
가능합니다.
br />
9. 레이드 쉬움모드?
br />
패치를 통해 쉬움모드의 레이드가 생겼죠. 여기서는 용사의 인장은 얻지 못하지만, 50AP와 시즌1에서는 인챈트까지 습득이 가능합니다. 시즌2는 안나오구요.(대신 코어는 1~2개 뿐이 안나와요) 현재 AP가 많이 모자라신 분들은 쉬움모드 레이드를 통해 모자란 AP를 수급하시고, 시즌1에서 인챈트 습득도 기대해볼만 하네요.
아참! 퀘스트도 쉬움모드로 완료할 수 있습니다. 7080이 부담스러우시면 쉬움모드로 빠른 스토리진행 해주세요
br />
10. 축복석
br />
행운축복석 - 정확하진 않지만 행운수치를 10정도 올려주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. 이는 추가적인 이블코어를
기대할 수 있죠
경험치축복석 - 추가적인 경험치 습득이 가능합니다. 명심하셔야 할 것은, 이 축복석은 던전 내에서 잡몹이 많이
나올 때 사용하는 것이 효율이 좋아요. 레이드에서는 잡몹이 거의 없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2천
정도의 미미한 경험치가 들어오죠. 적막의 칼날의 경우 보통 3~4만의 경험치를 추가적으로 습득
가능합니다
AP축복석 - 던전 내 보스의 숫자만큼 5~10의 추가적인 ap를 획득 가능합니다. 보스가 많이 나오는 던전에서
사용하는게 좋겠죠? ex) 움직이기 시작하는 진실
여신의 축복석 - 위의 세가지 축복석이 짬뽕된 것
br />
11. 채팅
br />
* 누군가에게 귓말이 왔다? [ 키를 누르시면 바로 대답이 가능합니다. 이 상태에서 방향키 위 아래를 누르시면
이전 귓말 상대로 바꿀 수 있구요
* ctrl + ` ~ 7을 눌러서 채팅창 변환이 가능합니다
* 확성기 아이템 링크는 채팅창에 '!서버' 를 쓰시고 아이템 창에서 해당 아이템은 shift + 좌클릭 하시면 됩니다.
br />
12. 기타 잡 팁
br />
* 키보드의 맨 오른쪽 +위에있는 -를 누르면 UI를 끌 수 있어요. 렉이 심하다 싶으면 눌러서 꺼주시면 어느정도
렉이 사라집니다
* 인벤에 있는 잡템을 빠르게 파시려면 엔터를 계속 누르고있는 상태로 아이템을 우클릭하시면 빠르게 팔 수 있
습니다, 중요한 템은 꼭 기억해두시고 팔지마세요. 만약에 팔았다면 빠르게 재매입으로 다시 구매할 수 있습니
다. 하지만 일정 갯수 이상 넘어가면 뒤로 밀려서 재구입 불가하니 유의하세요
* 벤체너지역은 콜헨과 로체스트에서 출항이 가능합니다. 콜헨은 기본 던전입장 게시판에서 왼쪽에 보시면 있고,
로체스트는 온천의 오른쪽에 위치해 있습니다.
* 출항횟수 초기화는 매일 오전 9시입니다
br />
br />
생각나는 것들만 추려서 적었어요
틀리거나 또 생각나는 것들 있으면 추가할게요 *
64bit 게임 시작(실행)은 베타 버전입니다.
이용 중 정상적으로 진행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 32bit로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.
댓글 11
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
글을 등록하실 때는 타인을 존중해주시기 바랍니다.타인을 비방하거나 개인 정보를 유출할 경우,
운영 정책에 의하여 제재를 받거나 관련 법에 의하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.